top of page
현대자동차-로고_백.png
Opinion

<내부회계관리제도와 ESG: 지속가능한 경영을 위한 전략과 관리>

그림1.jpg

엄재용 전무 (EY 한영회계법인)

Two years ago, an internal embezzlement incident worth 200 billion won at Company ○ caused a big stir in Korean society. As shocking as the astronomical amount of embezzlement was the fact that embezzlement and other corruption incidents occur in a variety of industries and departments, from manufacturing and service industries to the financial industry. Now, even companies that are trusted to have good internal controls are being caught up in embezzlement cases. This is because the company's internal control system, which prevents and detects corruption such as embezzlement, did not actually work.

At the end of last year, the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legislated the internal accounting management system, which had been established and operated as a voluntary regulation, into the 'Internal Accounting Management System Evaluation and Reporting Standards'. According to this standard, which has been in effect since January of this year, the CEO must report to the audit (committee), board of directors, and general shareholders' meeting every year the company's core internal control activities to respond to the risk of financial fraud, such as embezzlement, in a prescribed form. In addition, the audit (committee) must consult face-to-face with management every year regarding fund-related fraud risks and additionally disclose details of communication with external auditors in the evaluation report. This is a warning from the supervisory authorities to no longer engage in formal governance activities that end with reporting.

특히, ESG 관련 공시가 투자자 및 규제 기관의 주요 평가 항목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는 상황에서, 그동안 재무보고에 그 초점을 맞추고 있던 내부회계관리제도와 내부통제의 역할이 ESG 관련 공시에 사용되는 데이터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보장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될 것으로 생각하고 그에 대해 준비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전 세계적으로 ESG 관련 규제가 강화되고 있으며, 특히 글로벌 자동차 업계를 겨냥한 법적 요구사항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최근 발표된 Omnibus Package에서 다소 완화된 내용을 밝히고 있지만 여전히 유럽연합(EU)의 지속가능성 보고관련 요구사항은 상당히 다양하고 복잡한 내용을 요구하고 있으며, 제2기 트럼프 행정부의 방향성 조정에도 불구하고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ESG 공시 규제 역시 제도화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글로벌 시장의 리더인 현대자동차 역시 시장에서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규제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해야 하며, 내부회계관리 조직이 ESG 공시의 적절성을 지속적으로 검토해야 합니다.

또한 주요 기관 투자자들은 ESG 성과를 투자 결정의 중요한 요소로 고려하고 있으며, ESG 공시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외부 검증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BlackRock과 같은 글로벌 자산운용사들은 포트폴리오 기업의 ESG 리스크를 적극적으로 모니터링하며, ESG 미준수 기업에 대한 투자 철회를 단행하는 사례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ESG 공시와 관련된 정보를 관리하고 운영하는 통제에 대한 의존도 역시 증가할 것으로 기대되며, 이에 대한 투자자의 기대 수준에 부합하도록 내부회계 관리조직의 역할 역시 증가할 수 있을 것입니다.

ESG 보고의 리스크와 내부회계관리제도의 역할

ESG 보고는 재무 정보의 보고와 마찬가지로 정확성을 바탕으로 하는 신뢰성을 그 목적으로 합니다. 그러나 ESG 정보는 재무보고 목적으로 사용되는 정보와 달리 다양한 기준과 지표로 구성되어 있으며, 명확한 글로벌 표준이 아직 부재한 상황에서 일관성과 정확성을 유지하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 게다가 ESG 데이터가 실제 기업의 관리 운영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데이터 사이에서 괴리가 발생하거나 불완전하게 관리될 경우, 이는 단순한 보고 오류를 넘어 기업의 신뢰성과 법적 책임 문제로 확대될 위험이 있습니다. 따라서 기업의 내부회계관리제도는 ESG 관련 리스크를 선제적으로 관리하고, 보고의 신뢰성을 높이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설계와 운영에 신중을 기해야 합니다.

ESG 보고의 리스크와 내부회계관리제도의 역할

  1. ESG 데이터의 정확성 검토: ESG 보고에서 사용되는 지표가 실제 운영을 정확히 반영하는지 철저하게 점검해야 합니다. 현대자동차의 경우 탄소 배출량, 친환경 차량 판매 비율, 노동 환경 개선 노력 등 주요 ESG 항목이 관련 업종의 글로벌 스탠더드와 부합하는지, 그리고 회사의 ESG정책에 적절한 정보가 집계되고 있는지 면밀히 분석해야 합니다.

  2. 재무 정보와의 일관성 확인: ESG 보고 내용이 기존 재무 보고와 상충되거나 이중적인 해석이 발생하지 않도록 내부 통제 절차를 통해 정보의 정확성과 연관성 그리고 각종 세부정보와의 일관성 등을 다각도로 분석 검토하는 통제를 설계 및 운영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를 위해 기존에 재무보고 관련 내부통제, 흔히 “Internal Controls over Financial Reporting(ICFR)”으로 설계하여 운영하고 있던 통제들과 ESG보고 목적으로 필요한 중요 정보와의 연관성을 식별하여 새로운 통제가 필요한지 또는 기존의 통제에 구성요소를 추가하여 활용이 가능한지 여부를 분석할 수 있습니다.
     

  3. 중요성(Materiality) 평가: 글로벌 선두 기업으로서 현대자동차의 사업 환경과 미래 전략등을 고려하여, ESG 관련 정보 중 투자자와 여러 이해관계자에게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를 선별해야 합니다. 때때로 이는 계량적인 요소만을 고려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정성적이고 복합적인 요소들을 고려하기도 합니다. 따라서 단순한 트렌드 따라가기가 아니라, 현대자동차 그룹의 실제 경영 의사결정과 연계된 의미 있는 ESG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필수적이며, 이를 바탕으로 내부회계관리제도의 위험평가와 비슷한 중요성 평가를 주기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4. ESG 통제 환경 구축 지원: 내부통제 시스템이 ESG 리스크를 적절히 관리하도록 일관된 COSO Framework를 적용하고, 주기적인 점검을 통한 효과적인 운영 그리고 지속적인 개선을 추진해야 합니다. 또한 이러한 구축 준비 과정을 통해 기업이 목표로 하는 ESG 정책과 관련 법제 영역(Jurisdiction)에서 요구하는 공시기준에 부합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통제환경을 갖추어 나갈 수 있습니다.
     

  5. ESG 거버넌스 강화 자문: 이사회 및 경영진이 ESG 전략을 명확하게 설정하고, 전사적 차원에서 실행될 수 있도록 전문성 있는 자문단과 그러한 활동을 통해 식별된 내용을 능동적으로 반영하고 구현해 낼 수 있는 내부회계관리 조직이 필요합니다. 현대자동차가 ESG 리스크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신뢰할 수 있는 ESG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회사의 ESG 정책과 관련 목표 지표(KPI)를 주기적으로 임직원 및 여러 이해관계자에게 공유하고 이와 같은 내용을 내부회계관리 조직이 정확하게 이해함으로써 보다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위험평가를 통해 식별된 ESG 관련 risk에 대한 통제의 내부 점검을 정기적으로 수행하고, 통제 환경을 지속적으로 개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COSO의 내부통제 프레임워크를 ESG 관리에 적용하면 보다 체계적인 접근이 가능할 것입니다.

이제 ESG는 단순한 보고 이상의 의미를 가지며, 기업의 지속 가능성과 장기적 가치 창출의 핵심 요소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이는 현대자동차에게도 예외가 아닙니다. 따라서 현대자동차의 내부회계관리 조직은 회사가 제시하는 ESG정책의 명확한 이해와, 잘 계획된 관리체계를 통해 회사의 지속 가능성과 관련된 ESG 리스크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ESG 공시의 신뢰성을 제고하며, 글로벌 시장의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합니다. 이제 현대자동차의 내부회계관리제도는 단순한 재무 통제 기능을 넘어, ESG 경영의 글로벌 모범사례의 리더십을 확보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할 준비를 해야 할 것입니다.

[Contact Us]
본 뉴스레터와 관련하여 문의사항이 있으신 경우에는 아래 주소로 메일을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sh.moon@hyundai.com (재경기획팀 문성훈 매니저) 

본 뉴스레터는 외부감사법 (시행령 제9조) 상 임직원 대상 내부회계관리제도 교육 의무 준수를 위해 발송되었습니다.

현대��자동차-로고_백_edited_edited_edited.png
로고_edited.png

고객센터 :

1588-3002(유료), 080-001-3002(무료), SKYLIFE에 가입된 휴대폰에서 114(무료)

유선 : 평일 09시 ~ 18시
※ 고장 A/S 문의 : 09시 ~ 22시(평일/토요일/공휴일)
무선 : 평일 09시 ~18시
※ 일시/분실정지 : 09시 ~ 22시(평일/토요일/공휴일)

이메일 : helpdesk@skylife.co.kr ㅣ 주소 : 서울시 마포구 매봉산로 75 DDMC빌딩 8,9층

대표이사 : 양춘식 ㅣ 사업자등록번호 : 117-81-31120 ㅣ 통신판매번호 : 2013-서울마포-1528

bottom of page